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2

우분투(리눅스) 한글 입력 설정 안녕하세요 하이퍼입니다. 오늘은 우분투 한글 입력 설정하는 방법을 전달 드리려합니다. 세세하게 이미지를 나눠서 작성하다 보니 스크롤 압박이 있는데 불편하신 분은 단계별로 간략히 적어 놓은 글만 보고 하셔도 됩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은 전체 시스템은 영어이며, 타이핑하는 부분만 한글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우측 상단(전원 버튼 표시)를 눌러 Settings로 들어간다. 좌측 카테고리에서 Region & Language를 선택한다. 우측의 Manage Installed Languages를 눌러 Update -> Install 을 차례로 선택한다. 우측 상단(전원 버튼 표시)를 눌러 Restart한다. 1을 반복하여 Settings에 진입하여 좌측 카테고리 중 Keyboard를 선택한다. 우측 화면의.. 2024. 1. 17.
[리눅스/Linux] 파일링크 ln 명령어 파일 링크란?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같은 것 소프트 링크(심볼릭 링크) 하드링크 윈도우에서 보통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바탕화면이나 윈도우 Dock부분에 바로가기를 만듭니다. 실행을 할 때는 설치 위치까지 가지 않고 바탕화면에서 더블 크릭하여 바로 실행하죠! 리눅스에서 ln- 명령어를 쓰는 이유도 위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의 데이터 확인 가능 직접 수정 불가능 원본파일 삭제 시 데이터 확인 불가능 소프트 링크는 원본 파일의 위치만 가리키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원본파일에 담긴 내용을 볼수 있지만 직접 수정은 안됩니다. 하드 링크 원본 파일의 데이터 확인 가능 직접 수정 가능 원본 파일 삭제 시 데이터 확인 가능 하드링크는 원본 파일이 가리키는 데이터의 주소를 직접 가르키기.. 2023.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