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흔히 등호(=) 표시를 '같다'의 뜻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Python에서도 똑같은 의미로 받아들이기 쉽다.
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임을 받아 들여야한다.
[변수의 정의]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심볼이며, 변수화 객체는 대입문 / 할당문(Assign Statement)에 의해 생성 됨.
[기본 형태]
Variable = Value
↑(=)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 (=) 왼쪽에는 변수(Variable)만 올 수 있고, 오른쪽에는 무엇이든(Value, 변수, 수식, 함수 등) 올 수 있음.
[예시]
x = 10
"10을 저장하는 정수형 Object(객체)와 이것을 가리키는 Variable(변수) x를 생성하라"
"10을 변수 x에 할당 해준다"
" x는 10을 저장했다"
세 문장 다 동일하고, 우리의 머릿속 어딘가에 첫 문장을 넣어 주고, 최종적으로 마지막 문장만 사용하면 된다.
(정확한 의미는 필요할 때 찾아 보면 되니까 :D)
x = 10
print(x)
y = 20
print(y)
z = 30
print(z)
반응형